이번 포스팅은 인생 최대 소비 아이템을 소개해볼까 한다.

 

드레익스라는 브랜드에서 판매하는 왁스자켓이다.

"드레익스 커버올 왁스 자켓 (네이비) - Drake's Navy Waxed Cotton Coverall Jacket"

 

사실 이날은 바버 뷰포트 사러가는 길이었는데,

유혹당했고, 영업에 넘어갔으며, 입어보니 만족해버려서 구매해버렸다.

뷰포트도 입어봤는데, 여러가지 면에서 드레익스가 압살한다. 

물론 가격도 압살한다.

 

압구정 드레익스 도산 매장에서 직접 착용하고 구매하였으며,

"가격은 1,169,000원" 으로 매우 사악하다.

드레익스 커버올 왁스자켓 (네이비) - 핵 비싸다.

잡설은 나중에 하고 구매 팁을 먼저 말씀드리자면,

"무조건 실착을 하고 구매" 하시길 권장드리는 바이다.

왜냐면, 품은 넓은데 팔기장이 짧은 편이기 때문이다.

 

FW 시즌을 견디는 아이템인데, 팔기장이 짧으면 안에 입은 셔츠/니트 같은 이너가 너무 길게 나와버린다.

책상에 손을 올렸을 때, 팔을 들어올렸을 때 너무 많은 길이의 이너가 튀어나오면 좀 그렇다.

 

고로, 동강동강 핏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꼭 매장에 가서 시착하시는 것을 매우 권장드린다.

 

필자 본인 같은 경우,

180cm / 86~90kg 정도의 체형이며, 평상시 여유롭게 나온 110 사이즈를 즐겨 입는다.

(딱 맞는 110은 선호하지 않는다)

 

42사이즈와 44사이즈 사이에서 많은 고민을 하였는데,

매장 직원분의 의견 + 여자친구의 의견을 종합하여 팔기장 때문에 44사이즈로 구매를 결정하였다.

 

42사이즈의 경우 팔기장이 손목 툭튀어나온 뼈에 걸치는 정도여서 활동할 때 짧은 티가 날 것 같았다.

 

◆ 왁스자켓 구매하기 까지의 잡썰

압구정에 방문한 날은 바버 뷰포트 + 파라부트 미카엘을 구매하려고 한 날이었다.

 

파라부트 미카엘을 사러 유니페어로 가는 길에 드레익스 매장이 있는 것이 아닌가?

(압구정은 정말 오랜만에 방문했다)

 

드레익스는 스카프가 유명하고 그나마 가격대가 만만한 것으로 기억해서 스카프나 한번 볼까 하여 매장에 들어갔다.

매장에 들어서자 마자 보이는 것은 왁스자켓이었다.

 

주광색 불빛 아래서는 빛이 반사되어 차콜색으로 보이고, 가까이서 보면 네이비 색으로 보이는.. 아주 영롱한 자태를 뽐내었고, 가격 또한 영롱한듯 사악하였다.

 

여자친구에게 말했다.

"저것은 40대나 되어야 구매력이 될 것 같아."

그리고 매장에서 퇴장하였다.

 

어차피 나는 근본 왁스자켓 바버 뷰포트를 사려는 날이었기에, 아쉬운 감정따윈 없었다.

 

유니페어에 갔는데 이게 웬걸 바버도 같이 취급하고 있지 않은가?

일석이조 감사합니다. 생각하며 먼저 파라부트 미카엘 부터 찾았다.

 

감동실화 고객 친화적인 전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분께 미카엘 마룬을 피팅받으며,

바버 뷰포트좀 입어 볼 수 있는지 여쭤보았다.

 

그리고 시작된 바버 관련 스몰토킹.

직원분은 바버를 모델 별로 수집하셨던 찐 매니아셨다.

 

그리고 마지막에 하시는 말씀은 아래와 같다.

"근데 요즘 바버 너무 흔해지기도 했고, 저는 지금 바버 다 팔고 드레익스로 갔어요."

 

굉장한 설득력이 있었다.

사실 바버가 많이 보이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고, 나도 그 기류에 편승하려는 후발주자 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유니페어에서 실착한 뷰포트는 나의 비루한 몸덩어리 때문이었는지(180/90 of 체지방100%)

생각했던 만큼 만족스러운 핏이 아니었다.

 

여자친구에게 조언을 구했는데,

결국 드레익스 가서 사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평생 입을거 좀 일찍 사서 더 오래 입자)

 

미카엘을 구매하고 나와서, 카페에서 체형 유지를 위해 뇸뇸을 하던 중,

카페랑 드레익스 매장이 엄청 가깝길래 사이즈를 보려 방문하였다.

 

뷰포트 실착한 것과 비교하면 걍 드레익스 커버올 자켓이 압승이다.

걍 압승.

 

사이즈 문제에 도달했다.

42랑 44사이즈에서 인생 고민을 때렸다.

직원분은 계속해서 44사이즈를 추천하셨는데,

나의 뇌는 어떤 아집에 절여져서인지 42사이즈를 외치고 있었다.

 

직원분과 나의 의견 1:1

제3자의 의견이 필요했다.

 

판사로 여자친구를 모셨다.

여자친구 고견은 44사이즈였고, 2:1 판정승으로 44사이즈를 구매하게 되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정말 다행인게, 팔이 좀 짧은 것은 사실이었기 때문이다.

내 근시안적 판단은 참 구리다는 것을 깨달았고,

앞으로 쇼핑할땐 여자친구와 종종 동행해야겠다고 생각했다. 

 

116만원짜리 자켓.. 날씨만 받쳐주면 주구장창 입어야겠다.

한번에 큰 돈을 쓰니 약간은 공허하지만 예쁜 아이템을 구매하게 되어 기분은 좋다..

내가 드레익스를 사다니...

 

 

그럼 이제 제품 소개를 해보려 한다.

 

 제품 소개

- 매장에 디피된 영롱한 모습 : 조명이 주광색이라 빛이 반사되어 약간 차콜색처럼 보인다.

실제 컬러와 좀 유사하게 찍혔다. 사진은 역시 아이폰인가..

- 집에서 찍은 디테일

전면샷 : 조명빨을 못받았다

 

안쪽 포켓에 드레익스 로고, 타탄체크 안감, 누빔처리(따뜻)
안감에 통풍을 위한 구멍 : 양 옆 겨드랑이에 있다.
소매는 깔끔
영롱하게 빛나는 금색 지퍼
목을 보온할 수 있는 잠금 디테일
옷을 걸 수 있는 고리
회사에서 찍은 샷. 가까이서 보면 네이비 색이 두드러진다. 이것도 실제 색상과 비슷

Posted by jing9
,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두를 위한 와치캡/숏비니 아이템을 추천해보도록 하겠다.

 

앞서, 본인은 군대에서 군모 60호를 썼을 정도로, 대한민국 내에서 상위 등급의 머리 둘레를 자랑하고 있음을 고지하는 바이다.

그리고, 이마가 넓고 경사졌으며 목이 두꺼운 편이고 구렛나루가 없으며, 긴 얼굴형을 가지고 있다.

인간 오이지라고 볼 수 있다. (또는, 라바 노란색 캐릭터)

 

살면서 비니를 시도해본 적은 딱 한번 있었다.

2006년도 쯤이었나, 니뽄삘 빈티지가 유행하면서 아마 골지비니라는 아이템이 유행했었다.

그 당시 느끼기에 그 비니를 쓴 모습이 되게 멋있어 보였고, 나도 시도하고 싶었다.

 

그래서 어떻게 비니를 구해서 착용을 한 내 모습을 거울로 보았을 때,

오랑캐 분장을 한건가 의심되는 연출이었고, 스스로에게 불합격 판정을 내릴 수 밖에 없었다.

 

그 이후로 15년간 니트 재질의 모자와는 절연하고 살았다.

 

그러던 중 재작년인 2021년,

문득 레옹의 남자 주인공이 쓴 숏비니가 너무 간지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마침 트랜드에 숏비니/와치캡이 있었다.

 

한 번의 실패 경험이 있었지만, 다시 한 번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그래서 수많은 제품의 후기들을 보며, 대두를 위한 적당한 제품이 있는지 물색했다.

 

수 많은 브랜드의 제품들의 결제 + 시착 + 반품 시행착오를 걸쳐 단 한가지 브랜드 제품을 추천할 수 있겠다.

 

" 밀리어네어햇 - (cotton) watch cap "

 

하나를 꼽자면 나 같은 경우는 단연 "밀리어네어햇" 이다. 

 

밀리어네어햇 제작자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cotton) watch cap

대두를 위한 전천후 갓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위에 적은대로 제품 명은 "(cotton) watch cap [색상]" 이고, "Just Fit"이라고 붙은 제품은 개인적으로 진정한 대두용이 아닌것 같으니 참고바란다.

 

그 중에 "네이비" 색상 제품을 강력 추천한다.

 

나는 이 제품을 베이지색을 제외하고 모든 색상을 구매하였다.

근데 놀라운 점은 색상 별로 개체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네이비 색상이 압도적으로 편하고 컸으며, 블랙 색상이 두번째였다.

그 외의 나머지 색상은 처음 썼을땐 작아서 손으로 잡아 늘린다음 써야만 했다.

 

늘리는 팁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Step 1) 모자에 양손을 집어넣고 이마쪽이 닿는 테두리 부분을 쫙쫙 모든 방향으로 고르게 스트레칭 시킨다.

 >> 이 상태에서 한번 착용해본다. 

 

(Step 2) 이마가 닿는 부분(아래쪽) 둘레 부터 5센치 정도씩 손가락으로 잡고 생각보다 힘을 많이 줘서 쭉쭉 늘린다.

한 바퀴를 돌때까지 5센치씩 잡고 늘리는 것을 반복한다.

>> 이 상태에서 또 착용해본다. 만약, 착용하고 1분을 기다려 봤을 때 눈꼬리가 올라가는 느낌이 들면 좀 더 반복한다.

 

(Step 3) 아래쪽 부터 정수리 쪽으로 올라가며 계속 써보면서 늘려준다. 마찬가지로 늘리는 데는 생각보다 많은 힘이 필요하다.

 

*** 주의사항 : 정수리 쪽 부터 냅다 잡아 늘리면 썼을때 동그란 핏이 안나올 수 있다. 꼬깔콘 핏이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튼, 이 모자가 대두한테 좋은 점은 일단 타 브랜드 제품들에 비해 기본적인 빵이 크다.

 

그리고, 아래 쪽에 접힌 부분이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말거나 풀어서 조절해도 어색하지 않다.

 

무엇보다 정수리 쪽이 동그란 핏이 나온다.

내가 생각했었던 그 핏이다.

 

만약 처음 모자를 썼을 때 정수리 위쪽으로 공간이 남아 꼬깔콘 핏이 나온다면,

뒷통수 쪽으로 좀 기울기를 낮춰서 사선으로 눌러쓰고 접힌부분을 살짝 더 올려 말아서 써보길 바란다.

 

본인도 처음에는 쓰는 법을 몰라서 꼬깔콘 상태로 쓰고 다녔다..

 

나는 가을, 겨울마다 출근 안할 때면 거의 매일 와치캡을 쓰고 다닌다.

따뜻하기도 하고, 머리를 안감아도 되고.. 좋다..

처음에는 좀도둑 같은 내 모습이 어색했지만, 계속 쓰다보니 적응되었다.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따위 알게 뭐람.

자기만족 했으면 됐다.

 

그나저나 빨리 집에 가봐야하는 관계로 이만 글을 줄여 본다.

 

이 글이 대두 여러분께 좋은 팁이 되어 모자의 장르를 넓히게 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Posted by jing9
,
Fullcount 1101XX

#0_서론

10월 쯤 부터 복각 데님에 관심이 가게 되어 여러 브랜드의 청바지를 알아보던 중 풀카운트 1101 모델이 편하다는 정평이 있어 구매해보았다.

1101 모델을 선택한 이유는 와이드 팬츠를 2년동안 실컷 입었기 때문에 이제는 레귤러 스트레이트 핏의 바지를 입고 싶었기 때문이다.

 

풀카운트 1101 모델 뒤에 알파벳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 XX : 고온즈 라는 뜻. (일반 1101 모델은 13.7온즈인데, 1101XX 모델은 15.5온즈이다) 더 무겁다.
  • W : 원워시. 즉 한번 세탁을 완료하여 수축방지를 위한 방축가공을 했다는 뜻이다. 샌포라이즈드와 같은 의미인것 같다.

사실 1101XXW 모델을 구매한건 구매 실수였다.

원래는 그냥 1101W 모델을 구매하려고 했다.

뒤에 붙은 XX 알파벳를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무지성 구매를 완료한 뒤에 깨달아버렸다.

어차피 겨울이라 고온즈면 좀 더 따뜻하겠다 싶어 그냥 입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여름용 데님이 나중에 쇼핑이 필요하다는 합리적인 사유도 생겨서 오히려 좋았다.

그리고 이제 30대라서 풀기가 빳빳한 리지드 생지 데님을 견딜 자신이 없었기에, 원워시 데님을 선택했다.

 

 

#1_사이즈 선택

나는 키가 180cm, 몸무게는 식사유무에 따라 86~90kg를 왔다갔다 하는 하체비만형 경도비만 돼지다.

평상시 35사이즈가 정사이즈고, 34사이즈는 약간 부담스러운 감이 있다.

(34사이즈가 부담스럽지만 허리가 크게 나온 바지인 경우 구매하기도 한다)

고가의 바지이기에 폭풍 구글링을 통해 사이즈 정보에 대한 빅데이터를 충분히 수집했고,

결국 풀카운트 1101XXW 모델은 36사이즈를 구매하였다.

(네이버 스토어팜인 당신의 취미 연구O 라는 곳에서 구매하였다)

 

 

#2_착용 느낌

 

- 첫 착용 시 한줄평 :

"한 사이즈 다운했으면 큰일날 뻔했다"

 

물론 아직 내 몸에 맞춰 늘어나기 전이라서 그런것이지만, 처음 딱 입었을땐 허리가 딱 맞았고, 엉덩이도 좀 잡아주는 느낌이었다.

 

- 일주일 이상 착용 후 한줄평 :

허리/엉덩이/허벅지/종아리 돼지인 나인데도 편하고 여유롭게 잘 맞는다.

정말 딱 레귤러 스트레이트 느낌이다.

 

일주일 출근하면서 입으니깐 불편했던 모든 부위가 늘어났다.

특히 허리가 많이 늘어났다.

(아마 한 사이즈는 늘어난 것 같은데..)

 

늘려진 상태로 봐서는 어쩌면 한 사이즈를 다운하여 35사이즈를 구매했어도 괜찮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살짝은 들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세탁을 통해 극복하기로 맘먹었다.

 

폴리우레탄, 엘라가 포함되지 않은 원단의 바지들 중에서 가장 손이 자주가는 바지라고 할 수 있겠다.

밑단도 너무 넓지 않아서 맘에 든다.

 

 

#3_제품 소개

풀카운트 1101 모델은 1954년 빈티지 리바이스의 501 모델을 기반으로 복각한 데님이다.

옛날의 모습 그대로를 변태처럼 복각하기 위한 노력들이 엿보이는데 이 내용들을 소개해본다.

 

1. 짐바브웨산 코튼 원단

풀카운트 데님은 짐바브웨 면사를 쓴다.

아프리카의 뜨거운 태양아래 농약을 치지 않고 기계가 아닌 손으로 직접 수확한 목화에서 뽑아낸 면사는 일반 면사보다 가늘고 길다.

가늘고 긴 면사를 여러번 꼬아 실을 만들면 부드럽고, 밀도가 촘촘한 특징이 있다.

이런 실의 특징이 실제로 바지를 입었을 때 편하다고 느껴지게끔 하는 요인이기도 한 것 같다.

풀카운트가 짐바브웨 면사를 채택한 이유는,

1954년 당시에 리바이스에서 사용된 멤피스, 사우스 캐롤라이나, 애리조나 지역의 USA 코튼의 성질과 흡사하기 때문이라고 들었다.

(현재의 USA 코튼은 기계 생산, 과도한 농약 사용으로 품질이 저하되었다는 썰이 있다)

실을 제작하는 직기도 옛날 방식의 구직기를 사용하여 요철감 있는 원단을 만드는데, 요철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게된다.

여름에는 그 공간으로 통풍이 원활하며, 겨울에는 그 공간에 온기를 보존하게 되는, 말만 들어도 살짝 쩌는 성질이 있다.

그리고, 만들어진 원단을 보면 헤어리(hairy)한 감이 있다.

뭔가 털이 복실복실한 느낌인데, 이런 헤어리함이 강할 수록 워싱에 따른 페이딩이 강렬해지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복실복실한 헤어리(hairy)한 질감

2. 체인스티치

이제는 멸종되버린 "유니온스페셜 43200g" 재봉틀로 낸 체인스티치인데, 체인스티치로 마감을 하면 밑단이 사선으로 힘을 받게 된다.

그러면 워싱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페이딩이 사선으로 물결치듯이 생기는데, 이 또한 변태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체인스티치에 사용된 실은 폴리가 섞인 합성섬유가 아니라 레알 면사를 사용하여 세탁시에 실도 함께 청색 염료에 물들어 에이징되는 맛을 느낄 수 있다.

합성섬유는 염색이 되지 않아 나중에 다른 면은 워싱됐는데, 합성섬유 부분만 반짝반짝 빛나게 되는 부분이 있다.

유니온스페셜 43200g

사람들이 그 물결 페이딩 때문에 체인스티치를 고집하는데, 일반적인 스티치로도 괜찮은 페이딩이 나온다.

그래서 항간에는 일본의 과도한 마케팅이라는 썰이 있다.

물론 나는 썰 따위는 신경쓰지 않고 유니온스페셜로 수선해주는 곳을 열심히 검색해봤다.

서울에서 2~3곳 정도만 유니온스페셜 43200g 재봉틀로 밑단 수선을 해주는데, 나는 허정운비스포크데님 에서 수선했다.

수선 비용은 15,000원 이었고 한시간 정도 걸렸던것 같다. 맡기고 밥먹고 오면 된다.

수선 완료된 체인스티치

 

3. 리벳 디테일 + 히든리벳

바지가 찢어지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리벳.

초창기 리벳은 펀칭할 때 실이 조금 삐져나왔는데, 이 마저도 그대로 변태처럼 복각해버렸다.

그리고, 바지 안쪽에 히든리벳들도 박혀있는데 이 바깥부분이 더 빨리 페이딩되는 점이 있다.

4. 그 외 나머지 디테일

버튼에 풀카운트 양각
벨트 루프 가운데 볼록 튀어나온 디테일 : 여기가 더 빨리 페이딩 됨
양가죽 패치

어우 블로그 쓰는건 너무 힘든 일이다.

세상의 모든 블로거들을 존경한다.

Posted by jing9
,